출판매체론
박신흥, 송민정 저
1991년 12월 15일
10,000원
문자 발생 이전부터 문자 발생 이후 출판매체는 어떻게 변화됐으며 현대의 출판매체 형태는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개락적으로 기술했다.
0.0

(作文大勢) 읽고 쓰는 즐거움
간호윤 저
2006년 11월 30일
10,000원
저자가 서울교육대학에서 '언어와 문화'라는 과목을 지도하며 고민한 문제들을 바탕으로 엮은 것으로, 언어 텍스트를 읽고 문화를 이해·비평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며, 언어 표현 능력과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리포트 쓰기와 논술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0

[추천] 새벽 한시 십일분 새벽에서 꺼낸 문장들
채시안 저
2022년 12월 30일
10,000원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더 깊어지는 삶을 살아가고 싶습니다. 상처가 있는 사람에겐 ‘새벽’이라는 시간이 남들에 비해 조금 더 길고 어두운 시간이 아닐까 싶다. 저자는 살아가다 슬프고 우울한 것들을 마주하는 순간에 누군가의 구멍 난 마음을 따듯한 단어와 문장들로 채워 주고자 글을 쓰기 시작하였다. 대부분의 글이 ...
0.0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남명학교양총서 30
함안 서산서원 생육신의 충절기려 백이산 자락에 자리잡은
강동욱 저
2017년 6월 19일
10,000원
함안 서산서원은 생육신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윤허한 최초의 서원으로 1703년 경상도 유생 곽억령 등이 함안 출신인 어계 조려를 비롯한 생육신의 충절을 사육신의 예에 따라 숭모처(崇慕處)가 건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상소하여 윤허를 받고 창립한 서원이다. 1713년(숙종39) 사액서원이 되었으나 1871년 서원...
2.64192622045505

정전협정 전후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협상
김계동 저
2022년 12월 15일
10,000원
한국전쟁 정전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관계와 이에 따른 동맹의 결성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사연구센터에서는 2018년부터 「한국외교 협상사례연구」를 시작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주요 외교협상사례의 배경, 주요 쟁점, 전략, 과정, 성과와 후속 조치 등을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자료로 활용하면서...
0.0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남명학교양총서 19
남명선생편년
장원철, 전병철 저
2011년 2월 28일
10,000원
이 책은 1897년 『남명선생전집』을 간행할 때 기존의 「남명선생연보」가 소략하고 여러 곳에 오류가 있어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편찬, 간행 되었다.
0.0

동아시아고대학회 제3학술총서 3
동아시아의 시간관
동아시아고대학회 편
2008년 10월 20일
10,000원
동아시아고대학회 제3학술총서 3권 『동아시아의 시간관』. 동아시아고대학술은 국제적 학제적인 연구활동을 통하여 '주변으로부터 세계관 ' 몰인간성의 문화로부터 인간성의 회복과 자연친화적인 전통적 동아시아 문화로의 회귀 그리고 그 정체성을 실현시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 같은 취지아래 동아시아 각국과 여러민족의 역...
0.0

공익과 인권 17
형법개정안과 인권
한인섭, 이호중, 허일태 편 외
2011년 1월 15일
10,000원
법무부 형법개정안에 대한 비판과 최소 대안『형법개정안과 인권』. 이 책은 법무부의 <<형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학계의 대안을 수렴하여 작성한 대안을 담았다. 2010년 11월 5일 <<형법개정안과 인권: 바람직한 형법 개정의 방향>>이란 주제로 한 발표들과 진지한 토론...
0.0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남명학교양총서 18
남명, 그 학덕을 그리며
許捲洙 저
2011년 2월 28일
10,000원
이 책은 기유본 『남명집』과 갑신본 『남명집』에 나오는 만장과 제문을 모아서 번역한 것이다. 남명의 장례 때 영전에 올린 만장과 제문을 번역했다. 제문 가운데 몇 편은 나중에 남명의 산소에 가서 올린 것이다.
0.0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남명학교양총서 8
남명과 그의 벗들
강정화 저
2007년 12월 28일
10,000원
2년 전 필자는 연구소 사업의 일환으로 남명이 종유했던 이들의 문집해제 작업을 맡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그들의 가슴 뭉클한 사귐을 엿보게 되었다. 서울의 북악산에서, 보은의 속리산에서, 청도의 운문산에서, 그리고 진주의 지리산에서, 그들은 각자 조선 팔도의 한 모퉁이를 거처로 삼아 살면서도 일생 서로간의 그리움과 ...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