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30
『海東諸國紀』의 세계
손승철(孫承喆) 편
2008년 10월 20일
20,000원
『해동제국기의 세계』. 조선시대 중국에 대한 호기심의 진수가 박지원의 <<열하일기>>라면 일본에 대한 지식정보의 바이블은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이다. <<해동제국기>>는 1471년, 조선왕조의 최고의 외교관이었던 신숙주가 편찬한 책으로 조선시대 5백...
0.0

대국 미소와 한민족 분단
홍인숙 저
2002년 10월 19일
20,000원
기존의 한반도 분단에 대한 여러 논의와 달리 해외 한민족들의 분단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저서. 재일한국인들의 분단과 그 극복 노력을 중심으로 대국 미, 소의 원심력과 소국 한민족의 구심력이 작용하여 형성된 현대 동아시아 정치사의 원형에 접근했다.
0.0

근현대 민족주의 정치사상
유병용, 오일환, 정영순 저 외
2009년 9월 30일
20,000원
『근현대 민족주의 정치사상』은 도산 안창호, 안중근, 단재 신채호 등의 민족주의 정신과 그들의 정치사상을 알아본다.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26
19세기말 서양선교와 한국사회
유영렬, 윤정란 저
2005년 10월 10일
20,000원
The Korean Repositary는 19세기말 서양 선교사들이 한국의 현상을 기록해놓은 월간 잡지다. 이 책은 The Korean Repositary에 실린 기사 중 정치 및 외교관계, 사회문화관계, 선교사업과 정책에 관한 내용을 추출하여 정리했다.
1.47142857142857

경인한국학연구총서 7
고려무인정권과 지방사회
신안식 저
2002년 4월 20일
20,000원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 연구서. 지방사회의 저항이 벌어지게 된 배경을 중앙 지배층의 문란과 지방사회의 현장에서 찾아보았고, 무인정변 이후 집권세력들이 단행한 대민정책을 시기별로 다뤘다. 아울러 지배층의 수탈과 대민정책이 상호 모순을 유발하여, 무인정변 이후 지방사회의 대대적인 저항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0.0

동북아불교학연구총서 3
朝鮮後期佛敎匠人人名辭典 -工藝와 典籍-
최선일, 안귀숙 저
2009년 5월 1일
20,000원
[머리말] 이 인명사전은 조선후기 사찰의 범종과 전적 등을 제작한 승려장인과 사장들을 수록한 것이다. 이들의 활동은 사찰에 전해지는 사적기와 사적비, 범종의 명문, 전적의 간기 등을 바탕으로 시기별로 정리하여 그 활동 시기와 내용 및 승장이나 사장의 계보를 밝힐 수 있는 도편수를 적어놓았다. [양장본]
2.89350770667912

선예술의 이해
박성각 편저
2005년 5월 30일
20,000원
아침에 일어나 산을 바라보니 산이 된 저자를 수묵으로 표현하게 되고 부처님 모습이 동자상으로 다가와 동자와 자신을 하나됨으로 겸허하게 수용하고 동자된 자신을 표현하니 이 모든 그림들이 다 선화가 된다. 선과 하나가 되어 살아오다보니 선화의 작품이 모이게 되었고 이 작품들을 모아 전시회도 열었고 이제 책으로 펴내게 되...
0.0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독도연구총서 3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
2009년 5월 25일
20,000원
한국 최초의 독도 전문 연구기관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에서 펴낸 연구서이다. 독도학의 정립을 위한 학제간 연구를 지향하면서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를 한 것이다. 관심과 전공이 다른 저자들이 독도 영유권이라는 공통의 주제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정리한 책이다. 또한 일본 시네마현의 다케시마 문제 연구회에서 제출...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36
韓國 漢文學의 理解
車溶柱 저
2005년 10월 25일
20,000원
한문학에 대한 여러 주제들을 구체적으로 고찰한 책. 우리 선인들이 남긴 문화유산 중에서도 사상 감정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는 한문학을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하고자 했다. 저자가 평소에 한문학에서 관심을 가졌던 몇 개의 주제를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1.73125291103866

탐라문화학술총서 22
고대 동아시아와 탐라
채미하, 김경주, 장창은 저 외
2019년 3월 29일
20,000원
탐라문화연구원에서는 지난 2017년부터 2년여에 걸쳐 진행한 학술대회 등을 통해 고대 탐라로부터 현대 제주까지의 역사와 문화를 ‘탐라 천 년, 제주 천 년’의 대주제로 풀어내고자 하였습니다. 시대적으로 부침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지정학적인 면에서 예로부터 동아시아 해양문화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곳으로서 제...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