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한국학연구총서 194
일제강점기 해외독립운동과 광주학생운동
윤선자 저
2025년 2월 10일
28,000원
한국독립운동사를 전반적으로 연구하다 한국독립운동사는 1890년대부터 1945년 광복을 이룰 때까지 한국인들이 국내 국외에서 전개한 국권 주권 회복운동의 역사를 보여주고, 앞으로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독립운동가들의 열정과 희생을 밑거름으로 엮어진 한국독립운동사는 국내적으로도 세계적으로도 의미있고 가치로운...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93
20세기 한국사회와 천주교회
윤선자 저
2025년 2월 10일
34,000원
한국근대천주교회사를 연구하다 한국천주교회사는 한국천주교회가 걸어온 길을 보여주고, 앞으로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지난날을 말하는 것은 지난날을 어떻게 볼 것인가 그리고 오늘의 역사가 뜻하는 무엇인가를 결정한다. 과거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것은 진실을 존중한다는 것이다. 한국천주교회사는 한국천주교회 신앙 선조들...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92
임진왜란과 三道水軍
신윤호(申允昊) 저
2024년 12월 2일
22,000원
이순신이 통솔하였던 수군은 어떻게 운용되었을까. 임진왜란 해전의 공적은 이순신의 탁월한 전략과 뛰어난 지휘력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이것으로만 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요구되었던 측면도 있었지만, 이순신 한 사람의 활약을 중심으로 설명하다 보니 그가 성웅으로 묘사되어야 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91
역사 인식으로 읽는 고조선사 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송호정 저
2024년 5월 30일
32,000원
시기별로 단군과 고조선사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정을 알아보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이래 단군이 우리 민족사의 출발과 관련하여 특별한 의미가 있는 이상, 단군의 존재를 올바로 인식하는 것은 우리 역사의 시조 문제를 포함하여 출발 단계의 우리 사회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단군과 고조선에 대한 연구...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90
한국종족집단연구
이창기 저
2023년 12월 29일
26,000원
한국인의 생활과 사회 구조의 중요한 요소인 종족 집단에 대해 연구하다 종족집단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준거집단이다. 제사를 비롯한 각종 의례는 한국인의 생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종족집단 내의 인간관계가 사회로 확산하여 대인관계의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개인에 대한 사...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9
임진왜란과 경상좌도의 의병활동
박순진 저
2023년 9월 8일
34,000원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도에서 의병활동을 일으킨 배경과 그 활동상을 고찰하다. 경상좌도는 임진왜란 초기 일본군의 주요 진격로에 놓여 있었고, 고도로 단련된 일본군 정예병의 대규모 기습전에 의해 초토화되었다. 주둔군의 거점 확보와 침탈의 대상이 된 경상좌도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군의 충원된 군사력에 의해 계속적으...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8
한국 근대 여성지식인
김성은 저
2023년 8월 30일
31,000원
한국 근대 여성지식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집대성한 연구서 내외법과 조신함을 지고의 선으로 여겼던 조선시대 여성상에서 벗어나 때로는 현실의 파도와 싸우고 때로는 시대의 물결을 타고 재빠르게 나아가는 근대 여성지식인의 실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은 근대 여성지식인의 출발점이다. 해방 후 남한의 정계, 교육...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7
조선전기 사원경제 연구
이병희 저
2023년 8월 22일
28,000원
조선전기 사원경제의 상황은 어떠할까? 본서는 사찰의 경제 활동, 승려의 생산 및 사회 활동, 개별 사찰의 위상과 경제, 사찰의 망폐와 유물 등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전기 사원경제를 기준으로 보면, 사원이 위축된 것은 분명하며, 또 불교계가 약화된 것도 명백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사원이나 불교계가 絶滅...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6
군관 일기 17세기 함경도 변방에서의 일년
우인수 저
2023년 7월 18일
16,000원
『부북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부방생활 『부북일기』는 함경도로 부방하러 간 울산의 무과급제자가 남긴 일기이다. 이 일기를 남긴 주인공은 경상도 울산의 박계숙・박취문 부자인데, 아버지와 아들은 약 40년의 시차를 두고 함경도 최전방지역인 회령에서 1년간씩 군관으로 복무하였다. 본서는 『부북일기』의 내용을 세밀하...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5
한국전쟁기 학교와 학생
김상훈 저
2023년 6월 25일
28,000원
한국전쟁기의 교육사를 연구하다 한국전쟁은 한국인들에게 엄청난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주었고, 그 여파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전쟁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 책임을 묻는 과정은 필요하다. 동시에 한국전쟁을 겪으며 살았던 사람들의 모습도 살펴봐야 한다. 그중에서도 전쟁이 무엇인지 모르고 왜 전쟁이 벌어졌...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