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한국학연구총서 58
신라중고정치사연구
김덕원 저
2007년 6월 30일
15,000원
신라 중고기의 정치사를 연구한 책. 신라 중고기 중에서 사륜계의 정치활동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진흥왕 후기 이후의 중고기 정치과정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검토하면서 사륜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신라 중고기의 사륜계를 진지왕, 김용춘, 김춘추로 구분하여 크게 4장으로 구성하였다.
0.0

한국고대사료집성
김덕원 저
2004년 3월 30일
20,000원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 가운데 하나는 이용할 수 있는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고고학의 발굴성과나 인류학의 이론을 비롯한 인접 학문의 연구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있는 형편이다. 근래에 새로운 금석문들이 많이 발견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어느 정도...
0.0

湛軒 洪大容 硏究
김도환 저
2007년 8월 20일
11,000원
18세기 말 조선 사상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켰던 북학사상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 인물인 담헌 홍대용에 관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주로 북벌론의 화이론과 홍대용의 화이론을 비교하고 양자의 공통점 및 차이와 사상적ㆍ논리적 계승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있다.
0.0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7
지배와 저항, 그리고 협력
김동명 저
2006년 4월 5일
28,000원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인의 정치운동을 살펴보는 책. 일본제국주의와 조선인 정치운동세력이 여러 가지 어려움과 고민을 안은 채 식민지 현지에서 다양한 방향성을 갖고 상호작용하며 전개되는 복잡한 정치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식민지 지배 권력과 피지배자의 정치운동 사이의 정치과정에 착목해 저항이라는...
0.0

말 찾아 빛 따라
김동소 저
2009년 4월 27일
20,000원
해방 직후 영남일보사 초대 사장을 역임한 그는 10년간 지방 언론의 발전을 위해 눈부신 활약을 햇다. 근래 국문학계 일각에서 소암의 청소년기에 발간된 창작희곡집 『황야에서』가 우리나라 최초의 희곡집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파문을 던지고 있는 이 때에 우리나라 신문학 운동의 선구자요, 향토 언론의 개척자로서의 그분을 추념...
0.0

호남문화연구총서 13
교감 역주 호남 절의록
김동수 번역
2010년 2월 12일
45,000원
『호남 절의록』은 조선 정조 때 편간된 '호남 절의록'을 교감 및 역주 작업을 한 책이다. 책의 뒷부분에 이 책에 수록된 인물들의 본관, 자, 호, 거주지, 가족관계, 기사 출전 쪽수를 정리하여 이해하기 쉽게 돕는다.
0.90113905007522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20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
김동완 저
2023년 9월 22일
27,000원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을 검토하고 우리 회사법제의 수용에 대해 알아보다 이 책에서는 회사존립을 파괴하려는 침해에 대응하는 독일의 관련 회사법 규정의 내용과 한계를 분석하고, 회사법적 흠결을 메우려는 독일 법관의 법형성 작용과 그 결과물인 회사존립파괴책임을 법도그마틱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거의 모든 기업...
0.0

제주지역 목장사와 목축문화
김동전, 강만익 저
2015년 2월 28일
27,000원
제주지역에서 말을 생산, 관리했던 주체들은 ‘테우리’라고 부르는 목축민들이었다. 이들은 조선시대에는 牧者, 일제강점기에는 牧監으로 불렸다. 현재 테우리들은 축산업이 약화되고, 고령화 되면서 점차 사라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이들이 중산간(해발 200~600m) 초지대를 이용해 소와 말을 발을 방목하며 형성시켰던 목축생...
2.875

탐라문화학술총서 21
바람은 우리 모두의 것이다 제주도 풍력발전의 개발과 풍력자원 공유화운동사
김동주 저
2017년 2월 27일
29,000원
「탐라문화학술총서」 제21권 『바람은 우리 모두의 것이다』. 이 책은 직업적인 환경운동을 해온 필자의 석・박사 학위논문 등을 ‘제주도 풍력발전의 개발’과 ‘풍력자원 공유화 운동사’라는 주제로 재구성한 것이다.
4.33333333333333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35
韓國 憲法과 共和主義
김동훈 저
2011년 9월 10일
27,000원
‘공화주의’의 관점으로 우리 법과 정치 체제를 다시 보려는 시도이다. 공화주의는 극단적인 사익과 사적 자유에 대한 추구가 종횡하는 사회를 비판하고 공공성의 회복을 주장한다. 그래서 res publica, 즉 ‘공화국’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