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학회연구총서 34
고려시대 대외교류사 연구
이진한 저
2023년 5월 26일
38,000원
가난했던 고려는 어떻게 문화적으로 발전하였을까? ‘고려는 가난했다’는 것과 ‘고려의 문화적 수준이 높았다’는 것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고려가 문화 강국인 중국의 여러 왕조와 적극적으로 교류했기 때문이다. 고려가 중국 왕조와의 외교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것은 원만한 문화...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64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김아네스 저
2019년 6월 28일
38,000원
필자가 고려의 의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2007년 무렵,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산악 문화에 관한 논문을 준비하느라 산천제를 공부하면서부터였다. 그때 역사서에 서술된 제의, 의식, 의례 등의 개념을 살폈는데 특히 종교의례, 정치의례를 다룬 저술들이 흥미를 끌었다. 그 가운데 Howard J. Wechsler의...
0.0

국역 석주유고 하
안동독립운동기념관 편
2008년 8월 20일
38,000원
0.0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24
국제도산에서 도산절차와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
김영석 저
2024년 5월 24일
38,000원
CBI 모델법의 내용과 실무에서의 한계를 알아보고, IRJ 모델법 채택의 필요성을 검토하다. 법인이나 개인이 국외재산을 보유하고 나아가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하면서 외국채권자와 법률관계를 맺는 것이 특별한 것이 아니게 된 현대사회에서, 국제도산은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직면하게 되는 특별한 이슈가 아니라 필수...
0.0

다정가(多情歌)를 지은 이조년
이상록 저
2023년 4월 22일
38,000원
성주이씨(星州李氏)를 빛낸 별들의 역사, 이 책 한권에 명가 성주이씨 1000년의 역사가 있다. 본서는 고려충신 문열공 이조년, 초은 이인복, 도은 이숭인, 형재 이직 등이 가계 역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성주이씨(星州李氏)의 1000년 역사를 시문을 기반으로 소개한다. 퇴계 이황(李滉)은 문열공 이조년(李兆...
0.0

묘족복식문화
양정문 저
2002년 10월 21일
38,000원
중국의 소수 민족 복식 중에서 그 종류가 가장 풍부하고 장식공예가 가장 정밀한 일종의 민족복식으로 공인되고 있는 묘족의 복식에 대해서 수록한 책이다. 저자가 묘족 사람으로서 오랫 동안 서로 다른 계열의 묘족 분포지역에 기거하면서 묘족 부녀들을 선생으로 모시고 그들의 복식제작기술을 조사하고 기록하여 쓴 것이다.
3.2

재일제주인과 마이너리티
가미야 도모아키(神谷智昭), 고광명(高廣明), 고성만(高誠晩) 저 외
2014년 12월 31일
38,000원
역사 속에서 국경을 넘은 이주와 이산은 늘 있어 왔지만 20세기 전반 제1차 세계대전 등 여러 전쟁의 영향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전쟁이 야기한 동원과 소개와 난민, 침략과 지배에 따른 식민과 추방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과 연동하여 대규모의 인간 이동, 곧 이주와 이산이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났다. 한국 주민의...
2.54384391119085

조선시대 서학 관련 자료 집성 및 번역·해제 3
동국역사문화연구소 편
2020년 3월 10일
38,000원
조선 지식인의 서학연구 ‘서학(西學)’은 대항해라는 세계사적 흐름에 의해 동아시아 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사상적 조류였다. 유럽 세계와 직접적 접촉이 없었던 조선은 17세기에 들어 중국을 통해 서학을 수용하였다. 서학은 대부분의 조선 지식인들이 신봉하고 있던 유학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조선 지식인들은 처음에는...
0.0

공익과 인권 13
증보 국제인권조약집
정인섭 편역
2008년 11월 13일
38,000원
현재 국제사회에서 활용되고 있는 총 63건의 중요 국제인권조약과 선언을 모아 번역한 책. 2000년 출간된 『국제인권조약집』에 방대한 분량의 조약과 인권관련 중요한 결의를 추가한 증보판이다. 국제인권분야 실무 종사자와 국제인권법을 공부하려는 연구자에게 유용하다.
3.14285714285714

한국 도자사전
김윤정, 박경자, 방병선 저 외
2015년 7월 20일
38,000원
한국 도자사전은 총 9명의 전공자들이 3년에 걸쳐 한국의 도자기를 선사시대부터 1945년까지 중요 항목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 사전의 집필진은 현재 한국의 고고학과 미술사 분야 가운데 토기와 고려, 조선시대 그릇을 전공한 전문가들로 각 분야 별, 시기 별 가장 최신의 정확하고 전문적인 서술과 해석을 기대할 수 있...
3.27272727272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