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5
한국전쟁기 학교와 학생
김상훈 저
2023년 6월 25일
28,000원
한국전쟁기의 교육사를 연구하다 한국전쟁은 한국인들에게 엄청난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주었고, 그 여파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전쟁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 책임을 묻는 과정은 필요하다. 동시에 한국전쟁을 겪으며 살았던 사람들의 모습도 살펴봐야 한다. 그중에서도 전쟁이 무엇인지 모르고 왜 전쟁이 벌어졌...
0.0

신편고려사전문 新編高麗史全文
張東翼 저
2023년 5월 30일
385,000원
『신편고려사전문』을 간행하다 이 책은 우리가 읽고 있는 紀傳體의 『高麗史』를 그 직전에 편찬된 『高麗史全文』과 같은 編年體의 史書로 바꾼 것이다. 이에서 주목될 수 있는 점은 干支로 표기된 날짜[日辰]를 아라비아 數字로 말끔하게 계산하여 역사의 전개를 보다 생동감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분명하...
0.0

고려사학회연구총서 34
고려시대 대외교류사 연구
이진한 저
2023년 5월 26일
38,000원
가난했던 고려는 어떻게 문화적으로 발전하였을까? ‘고려는 가난했다’는 것과 ‘고려의 문화적 수준이 높았다’는 것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고려가 문화 강국인 중국의 여러 왕조와 적극적으로 교류했기 때문이다. 고려가 중국 왕조와의 외교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것은 원만한 문화...
0.0

다정가(多情歌)를 지은 이조년
이상록 저
2023년 4월 22일
38,000원
성주이씨(星州李氏)를 빛낸 별들의 역사, 이 책 한권에 명가 성주이씨 1000년의 역사가 있다. 본서는 고려충신 문열공 이조년, 초은 이인복, 도은 이숭인, 형재 이직 등이 가계 역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성주이씨(星州李氏)의 1000년 역사를 시문을 기반으로 소개한다. 퇴계 이황(李滉)은 문열공 이조년(李兆...
0.0

한일관계사연구논집 86
한반도의 일본인, 일본열도의 한국인
한일문화교류기금 편
2023년 3월 31일
29,000원
한국에서 생활한 일본인, 일본에서 생활한 한국인 역사 속에 그들은 어떤 흔적을 남겼으며,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본서는 한일문화교류기금의 2022년 한일국제학술회의 ‘韓半島의 日本人, 日本列島의 韓國人’에서 발표된 내용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람으로 일...
0.0

한일관계사연구논집 87
‘여성’과 ‘젠더’를 통해 본 한일관계사 附, 한일관계사학회 30년,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학회 편
2023년 3월 31일
24,500원
현재의 여성과 젠더를 과거의 역사 위에서 고찰하다 한일관계사학회는 ‘한국과 일본에 대한 역사 연구를 통하여 두 나라 사이의 올바른 관계사 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한일 간에 첨예한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영토 문제, 교과서 왜곡 문제, 제국주의 침탈과 관련된 강제동원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의 현실적인 ...
0.0

[추천] 한일관계 2천년, 화해의 길목에서
손승철 저
2023년 3월 27일
28,000원
‘만남·적대·공존·상처·화해’ 5가지 키워드로 본 한일관계의 2천년 일본 고대 ‘야요이[弥生]’문화는 한반도에서 벼농사 기술과 철기를 가지고 일본열도로 간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시작되었고, ‘야마토[大和]’국은 가야와 백제·신라·고구려 도래인에 의해 성장하며 고대국가를 완성했다. 중세 일본의 폐쇄적이며 굴절된...
0.0

인산부원군 홍윤성 연구
이상배, 김우철, 손승철 저 외
2023년 2월 20일
19,000원
“역사적으로 지나치게 왜곡된 인산부원군 홍윤성에 대하여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인간 홍윤성을 재조명하다.“ 인산부원군 홍윤성은 문종~성종 때까지 활동했던 인물로 조선이 건국된 후 정치적으로 격동기를 거치면서 안정화되는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하는 과정에 참여하였고...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4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
김웅호 저
2023년 2월 20일
26,000원
조선전기 국왕을 비롯한 집권세력은 수도 한양을 외침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어떠한 방안을 강구했을까? 1392년 태조 이성계는 개경 수창궁에서 왕위에 올랐다. 1394년 8월에 한양을 최종적인 천도 후보지로 결정하고 10월에 전격적으로 한양 천도를 단행했다. 천도에 앞서 태조는 권중화・정도전 등을 한양으로 파견하여...
0.0

한일관계사연구논집 85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연구
한국이사부학회 편
2022년 12월 30일
40,000원
삼척의 울릉도 수토에 관련된 제반 문제를 다루다 현재 한・일 간에는 독도 영유권의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 한국에서 주장하는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실은 ‘이사부의 우산국 복속’과 ‘조선시대의 울릉도 搜討’이다. 우리가 삼척에 주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즉 서기 512년 이사부장군이 삼척에서...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