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과 진리 여석 이기백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문집
이기백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문집 간행위원회 엮음
2024년 12월 9일
30,000원
여석 이기백 선생님의 탄신 100주년 기념문집 선생님은 호를 餘石이라 하여 자그마한 돌이라고 겸손을 보이셨지만, 한국사의 흐름을 파악하는테 큰 기둥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재 한국사학계의 현실이라 할 수 있겠다. 선생님의 학문적 업적을 ‘이기백사학’이라 명명할 수 있을 터인데. 제자와 후학들이 선생님 연구분야를 ...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92
임진왜란과 三道水軍
신윤호(申允昊) 저
2024년 12월 2일
22,000원
이순신이 통솔하였던 수군은 어떻게 운용되었을까. 임진왜란 해전의 공적은 이순신의 탁월한 전략과 뛰어난 지휘력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이것으로만 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요구되었던 측면도 있었지만, 이순신 한 사람의 활약을 중심으로 설명하다 보니 그가 성웅으로 묘사되어야 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0.0

한일관계사연구논집 94
국제화시대의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대응
김수웅 외 저
2024년 11월 19일
34,000원
21세기의 한일문화 비교와 교류에 대한 전망을 논의하고, 상호이해와 신뢰를 심화시켜 나가다 지난 60년간의 문화교류의 큰 흐름과 특징은 파악할 수는 있었다. 한일문화교류는 1965년 한일 수교이후 시작되었고, 본격적으로 교류의 급물살을 탄 것은 역시 1998년에 문화 개방이었다. 그리고 그동안 뭘 지양했나를...
0.0

[추천] 황범송 평전
김창석(金昌錫), 이광평(李光平) 저
2024년 10월 10일
38,000원
“그의 일대기는 개인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조선족의 생생한 역사 기록이기도 하다” 93년 인생 여정에 76년을 카메라와 함께 했다면 이 또한 기네스북에 올릴만한 대 기록이라 하겠다. 중국 조선족 촬영예술계의 제1대 원로 황범송(黄范松) 선생이야말로 그 기록의 주인공이다. 이 책은 황범송 선생이 한평생...
0.0

한일관계사연구논집 93
한일관계사
마쓰다 토시히코(松田利彦) 저; 허지은, 이기원 번역
2024년 9월 30일
31,000원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한일관계를 한권으로 정리하다 이 책의 특징은 한일관계를 양국 간의 관계에 국한하지 않고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여러 지역과의 다각적인 교류, 사람과 물자, 문화의 다양한 관계를 함께 파악한 점입니다. 또한 현재의 한일관계뿐만 아니라 북한과 일본 간의 관계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들도 다루고 ...
0.0

고려도경 역주(하)
이진한 외 역주
2024년 8월 23일
45,000원
새로운 번역과 섬세한 설명으로 이해를 높인 『고려도경』 역주, 그 하편. 『고려도경』은 1123년에 고려를 방문한 송 사신단의 일원인 서긍이 귀국하여 고려에서 보고 들었던 것을 그림과 함께 적은 책이다. 그래서 이 책은 『고려사』・『고려사절요』와 같은 조선 초에 편찬된 관찬 사서에서는 볼 수 없는 12세기 초...
0.0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92
한일 문화재 반환 문제는 왜 해결되지 못했는가? 한일회담과 ‘문화재 반환 문제의 구조’
엄태봉 저
2024년 8월 15일
35,000원
왜 아직도 문화재 반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한일 양국 간의 문화재 반환 문제는 한일국교정상화 회담(한일회담)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당시 한국 측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이 조선의 문화재들을 불법적·강압적으로 약탈했기 때문에 문화재를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고, 반면에 일본 측은 불법적으로...
0.0

신용하저작집 67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영유권
신용하 저
2024년 8월 15일
26,000원
72년간 계속되고 있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독도영유권 ‘논쟁’, 일본의 주장이 완전히 거짓임을 밝히다 이 책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의 조약문 작성자인 덜레스 미국대통령 특사가 샌프란시스코 평화회의 석상에서 51개국 대표들에게 행한 평화조약 조약문의 유권적 해석을 내린 연설 전문을 새로 발굴해서, 이 덜레스의...
0.0

[추천] 어떤 제국과의 조우 13~14세기 고려와 몽골 원元
이강한 저
2024년 7월 12일
46,000원
13~14세기는 한반도에 있어 흔히 몽골의 침공, 원제국의 간섭 등으로 기억되는 시대이다. 원제국이라는 초유의 상대방을 만난 고려는 처음에는 전쟁과 약탈, 간섭과 개입 등에 시달렸지만, 이후 고려를 다스리던 혼혈 국왕들은 원제국의 정책노선과 방법론 등을 수용한 개혁도 도모하였다. 국왕과 관료들의 정체성 변화로...
0.0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91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임선빈 저
2024년 5월 30일
36,000원
일본에 다녀온 통신사들을 통해 본 조선후기 사회 일본의 에도막부는 쇄국정치 시기이지만, 조선에 비해 이미 서양문물이 많이 들어와 있었으며, 이 시기 일본은 장기간 전쟁이 멈춘 평화기로 국내의 사회가 안정되고 문화는 번창하고 있었다. 이를 직접 목격하고 돌아온 사람들이 통신사였고, 그 가운데 통신삼사는 당대를 대...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