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선한국학총서 18
국민조선역사
이영화 번역
2013년 12월 30일
17,000원
3.14893617021277

중국의 근대 혁명과 전통 사상 사이에서
이원석 번역; 사가 다카시 저
2012년 5월 29일
17,000원
유사배평전『중국의 근대 혁명과 전통 사상 사이에서』. 이 책은 사가 다카시가 역사적 격동의 파고를 감안하는 한편 유사배의 정치적 전변을 따뜻하고 인간적인 시선으로, 명쾌한 논지와 평이한 문장으로 녹여낸 정치사상사의 노작이다. 고증학에서 출발한 학자 유사배가 민족주의와 아나키즘을 제창하면서 전통사상과 결합된 혁명론을 ...
0.0

고려사학회연구총서 14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이정신 저
2004년 1월 20일
17,000원
고려의 정치 . 사회변동에 입각하여 북방의 여러 나라들과의 외교 관계를 규명한 책. 요 . 금 . 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내의 정세변동과 관련시켜 연구했으며, 국내의 여러 문제점이 외교관계를 변화시키거나 외국과의갈등이 국내 정치상황을 바뀌게 한 상황을 살펴보았다.
2.07190635451505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48
조선통신사 수행화원 연구
이정은(李貞慇) 저
2020년 10월 30일
17,000원
조선후기 일본에 파견 된 12명의 조선통신사 수행화원들 본서는 조선후기 일본에 파견된 12인의 조선통신사 수행화원들에 대한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역사적배경이 되는 조선통신사는 임진・정유 왜란 이후 조・일간의 국교회복을 위해 재개된 문화사절단으로 정미통신사(1607)부터 신미통신사(1811...
0.0

계림구사 중・한 편
저우후(周琥), 양바오천(楊保臣) 저; 전금숙(全今淑) 번역
2023년 12월 29일
17,000원
고대 문헌자료에 근거하여 구이린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다 수천년의 역사를 거쳐 형성된 마애석각은 구이린 산수의 아름다움을 보다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구이린의 역사를 새겨넣은 귀중한 기록물이라고 할 수 있다. 부동한 역사시기에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문자 또는 그림으로 석각에 남김으로써 오늘날 우리는 엣날을 ...
0.0

최남선한국학총서 9
만몽문화
전성곤 저
2013년 10월 30일
17,000원
신석기 시대의 동아시아를 개관하면 대체로 요동, 산동, 하남, 감숙을 잇는 북중국 일대에 중국적 문화권이 성립되었고, 그 북쪽 몽고와 북만주에는 북방 문화권이 대립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곳에서 출토한 기물로 본다면 북중국의 문화는 농업민으로 정주 생활을 하는 자들의 문화였다. 북방 문화의 서쪽 초원에 유목민이...
3.21428571428571

중국 고대의 수리문화
정창원 저
2008년 10월 24일
17,000원
고대의 국가경영에서 토목사업이 사회와 문화 및 국가 경제와 정치적 파급력에 어떠한 연관성을 띄고 잇는지를 연구테마로 삼아온 저자가 수리사업에 중점을 두고 정리·분석한 책. 중국 고대의 수리사업은 어떤 형태로 인식되고 실시되어 왔으며, 고대 국가의 경영과 문화전파와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에 대해 해답을 구하고자 하...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53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최선혜 저
2007년 6월 30일
17,000원
조선전기의 지방사족과 국가를 연구한 책. 조선전기 국가와 향촌의 사족, 그리고 민(民) 사이의 상호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조선전기 사회의 구조를 이해하고자 했다. 조선전기 지방 사회를 주도한 사족으로서의 유향품관을 연구하여 조선전기 사회의 구조를 그려내고 있다.
3.06818181818182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28
일본 역사서의 왜곡과 진실
한국사연구회, 한일관계사학회 편
2008년 4월 30일
17,000원
한국사연구회와 한일관계사학회가 각각 05년도, 06년도에 개최한 학술회의 연구논문을 합친 것으로 일본 우익교과서인 '새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에서 집필한 중학교 일본사 교과서를 분석하고 일본 내 대학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본사 개설서 및 사전류에 나타난 한일관계 서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0.0

한일관계사연구논집 3
임나 문제와 한일관계
한일관계사연구논집찬위원회 편
2005년 6월 5일
17,000원
지난 2001년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이 일본 연구자의 한국사에 관한 인식 중 상호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기로 합의를 했다. 이 합의의 결과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탄생되었고, 양국의 연구 위원들은 모두 19개의 공통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서 드러나는 상호 역사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