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공화국의 립스틱
전영선, 한승호 저
13,000원
13,000원
판매중
종이와나무
종이 표지
변형신국판(150*210)
-
2021년 6월 30일
9791188293131
책 소개
화장품 속에 담겨 있는 북한의 경제와 사상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화장품공장을 방문했다는 기사가 『로동신문』 1면을 채운 적이 있다. 그 이후로도 김정은이 화장품 공장을 현지 지도했다는 기사는 몇 번이나 지면을 장식했다. 화장품 산업은 북한에게 어떤 의미일까?
화장품은 정치, 경제, 사회문화 차원에서 북한에서 진행되고 있는 변화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화장품은 내수 시장을 활성화하고 품질개선을 통한 수출산업의 육성의 본보기 산업이다. 디자인도 개선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고자 치열하게 화장품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화장을 한다는 것은 사회주의 문명국에 사는 사람으로 누려야 할 문화생활로 포장하였지만, 자력갱생의 돌파구를 열어나가야 할 막중한 임무를 지닌 전략 품목이 되었다.
본서는 김정은 시대 이전에 비교적 사치의 상징으로 괄시를 당하던 품목인 화장품이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 변화된 사회적 인식 뒤에 어떤 경제 산업적 이유가 있는가를 살펴본다. 북한의 화장품과 화장품을 광고 기법 등을 시각적 자료로 살펴 볼 수 있는 것 또한 이 책의 특징이다.
목차
서문_화장품이 뭐길래

1부 화장에 눈뜨다
인민, 화장에 눈 뜨다
사회주의 미감美感과 화장
‘꽃’으로 불리는 북한 여성과 화장
‘변태적인 화장’
북한식 화장의 기본

2부 북한의 화장품
화장품 종류
화장품의 핵심 원료 ‘개성고려인삼’
‘사과향수, 사과린스, 사과샴프’
젤라틴과 화장품
살결물(수렴성, 보습성)
크림(일반크림, 물크림, 세수크림, 영양크림, 분크림, 밤크림)
머리영양물
미백영양물

3부 화장품, 사랑의 선물
‘3·8국제부녀절’에 받아보는 사랑의 선물 ‘봄향기’
봄향기’ 화장품에 얽힌 일화 : 소설 〈봄향기〉, 예술영화 〈봄향기〉, 동童시詩 〈봄향기〉
원수님 사랑 넘친 ‘은하수’ 화장품으로 맵시쟁이 선녀가 된 누나
김정은 시대 화장품 찬가, 은하수 화장품으로 고와지는 엄마 얼굴
선물화장품 〈봄향기〉, 〈선녀〉가 인기

4부 사회주의 문명국과 화장
사회주의 문명국과 인민생활
화장, 시장에서 산업으로
사회주의 문명국과 화장化粧
사회주의 문명국과 뷰티산업

5부 화장품, 국산화를 넘어 세계적 수준으로
왜 화장품일까
국산화에 대한 강박 혹은 불가피
화장품 산업과 자강력
향수도 우리식으로
“현대화, 국산화, 질제고의 기치를 계속 높이 들고 명제품, 명상품을 더 많이 생산하겠다 ”
봄향기화장품 VS 랑콤화장품

6부 화장품도 이젠 경쟁시대
시장, 경쟁을 만들다
화장품 광고와 시장 경쟁
화장품 판매봉사와 진열
‘봄향기’화장품과 ‘은하수’화장품의 맞짱
‘봄향기’화장품과 ‘은하수’화장품의 품질 경쟁

7부 현대화의 본보기 평양화장품 공장
현대화, 정보화의 본보기 평양화장품공장
지식경제시대의 본보기, 평양화장품공장
평양화장품공장 ‘은하수’

8부 ‘봄향기’ 화장품의 고향 신의주
단둥에서 바라 본 신의주
신의주에서 만나는 북한 화장품
화장품 산업의 메카, 신의주
신의주화장품공장
최고지도자 신의주화장품 공장 방문기
최고 파워 브랜드 ‘봄향기’
‘봄향기’ 화장품 종류

9부 화장품 브랜드의 탄생과 차별화 전략
화장품 브랜드의 탄생
‘봄향기’에서 ‘금강산’으로
‘금강산’ 브랜드의 탄생
금강산 화장품
금강산 장미화장품 세트
‘래일의 아름다움을 약속’하는 ‘미래’화장품
미래화장품의 녹차 화장품

에필로그
저: 전영선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북한 사회문화 연구와 남북 문화의 소통을 주제로 학술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
『어서와 북한 영화는 처음이지』, 『NK POP : 북한의 전자음악과 대중음악』, 『북한의 체육정책과 체육문화』, 『북한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 『영상으로 보는 북한의 일상』, 『북한의 언어–소통과 불통 사이의 남북언어』, 『북한의 정치와 문학: 통제와 자율사이의 줄타기』, 『북한 애니메이션(아동영화)의 특성과 작품세계』, 『문화로 읽는 북한』 등이 있다
저: 한승호
숭실대학교 초빙교수. 충북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고, 동국대학교에서 북한학박사를 받았다. 북한 사회와 문화를 중심으로 남북문화의 소통을 주제로 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저
『북한의 조선예술영화』, 『통일 잡(雜)수다』, 『북한 사회』, 『The Society of North Korea : One for all, All for on』,e 「김정은 시대의 보도매체를 통해 본 북한 정치사상 변화 연구」, 「북한 ‘조선예술영화’ 변천 과정 연구」, 「김정은 시대의 북한 조선예술영화 분석」, 「북한영화 속 ‘핵’의 콘텍스트」, 「선군시대 북한영화에 나타난 과학자 형상 연구」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