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표암 강세황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변용섭, 박은순, 강관식 저 외
32,000원
32,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408쪽
2013년 12월 31일
9788949910109
책 소개
표암 강세황은 법고창신의 개혁정신으로 요동치던 영정조 시대에 높은 식견과 안목을 바탕으로 한 화평으로 정치와 사회는 물론 당대 화단의 중심에 서 있었던 인물입니다. 강세황이 조선후기 회화사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시서화 삼절이라는 뛰어난 위상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한 인간으로서 궁극적 지향점인 진ㆍ선ㆍ미 일치를 위한 실천적 삶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발간사 표암 강세황: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변영섭 문화의 시대에 다시 읽는 강세황
Ⅰ. 왜 강세황인가 9
Ⅱ. 문화의 시대와 표암 강세황 11
Ⅲ. “예원의 총수”, 강세황 예술세계의 성격과 의의 14
Ⅳ. 마무리 26

박은순 古와 今의 變奏: 豹菴 姜世晃의 寫意山水畵와 眞景山水畵
Ⅰ. 머리말 53
Ⅱ. 강세황의 畵學과 《豹翁先生書畵帖》 55
Ⅲ. 姜世晃 寫意山水畵의 특징 61
Ⅳ. 《楓嶽壯遊帖》의 몇 가지 문제 85
Ⅴ. 姜世晃 眞景山水畵의 특징 96
Ⅵ. 맺음말: 조선 儒畵의 정립 117

강관식 표암 강세황 초상화의 실존적 맥락과 의관 도상학
Ⅰ. 서언 127
Ⅱ. 禁錮와 烏巾像 129
Ⅲ. 出仕와 宕巾像 141
Ⅳ. 揚名과 紗帽像 161
Ⅴ. 家門과 幅巾像 176
Ⅵ. 결어 186

백인산 표암 강세황 사군자화의 의미와 위상: -난죽화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193
Ⅱ. 강세황의 사군자화 인식과 지향 195
Ⅲ. 강세황 사군자화의 양상과 특징 201
Ⅳ. 강세황 사군자화의 시의성 205
Ⅴ. 강세황 사군자화의 영향과 위상 212
Ⅵ. 맺음말 216

이완우 표암 서풍의 기반
Ⅰ. 강세황의 글씨에 관한 기록 221
Ⅱ. 표암의 楷行草 서풍 233
Ⅲ. 표암의 篆隸 서풍 266
Ⅳ. 조선후기 서예사와 강세황 279

민길홍 18세기 화단에서 표암 강세황의 위상
Ⅰ. 서론 285
Ⅱ. 강세황을 보는 시각 286
Ⅲ. 서화를 매개로 한 인적 교유 295
Ⅳ. 서화평을 통한 예술 취향의 확산 304
Ⅴ. 결론 315

정은주 중국사행에서 姜世晃의 詩畵 창작과 인적 교유
Ⅰ. 서론 321
Ⅱ. 노정에서 그린 枯木竹石圖와 實景山水畵 324
Ⅲ. 북경에서 公的 活動과 관련 詩畵 334
Ⅳ. 북경에서 주요 聞見 장소와 詩畵 343
Ⅴ. 《唯能爲也帖》과 북경에서 교유 인물 354
Ⅵ. 결론 364

종합토론 371
도판목록 400
저: 변용섭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회장,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청장 등을 역임하였다.
『표암 강세황 회화연구』(일지사, 1988), 『화안-동기창의 화론』(시공사, 2003), 『한국미술사』(문예출판사, 2006), 『미술사, 자료와 해석』 泰弘燮先生賀壽論文集(일지사, 2008), 『표암유고』 청명국역총서 2(지식산업사, 2010), 『중국미술상징사전』(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문인화, 그 이상과 보편성』(북성재, 2013) 외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저: 박은순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현 문화재청 동산분과 문화재위원, 고지도연구학회 부회장, 국토정보지리원 유물평가위원회 위원.
미국 뉴욕주립대 방문교수 및 강사, 일본 도쿄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객원 연구원, 세이조대학교 초빙교수, 사단법인 온지학회 회장, 미술사학회 총무이사, 역사학회 이사, 문화재청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교육기술과학부 부속 학술정책자문위원회 위원, 문화재연구소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금강산도 연구』,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 그림』, 『공재 윤두서』, 『한국미술의 현실성과 사실성』(공저), 『겸재 정선』(공저)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
저: 강관식
한성대학교 교수, 간송미술관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회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간송미술관 연구원, 미술사학연구회장, 문화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중국회화이론사』(역서), 『진경시대』(공저), 『추사와 그의 시대』(공저), 「조선시대 초상화의 도상과 심상」, 「조선시대 초상화를 읽는 다섯 가지 코드」, 「진경시대 초상화의 조선적 풍격」 외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저: 백인산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의 묵죽』, 『선비의 향기 그림으로 만나다』, 「추사 김정희의 난맹첩 연구」, 「표암 강세황의 묵죽화 연구」, 「조선중기 수묵문인화 연구」, 「조선왕조 도석인물화」, 「탄은 이정 삼청첩의 역사성 연구」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
저: 이완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부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어대학 터어키어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빛문화재단 화정박물관 학예연구실장, 대전대학교 문과대학 서예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한국미술사』(공저), 『영조어필』, 「李匡師 書藝 硏究」, 「石峯 韓濩 書藝 硏究」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저: 민길홍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고고미술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朝鮮時代 唐詩意圖」, 「朝鮮時代 雪景山水畵」, 「겸재 정선의 고사인물화」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 정은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이다.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연행사절의 서양화 인식과 사진술 유입」, 「조선후기 회화식 군현지도 연구」, 「건륭연간 만국래조도 연구」, 「계미(1763)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연행에서 중국 서화 유입 경로」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