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학연구총서 14 |
실사구시 제창자 양득중
김태희 , 김승대 , 김용흠 저 외
24,000원
24,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326쪽
2021년 8월 25일
9788949949802
책 소개
‘실사구시’ 제창자 양득중 연구

덕촌 양득중은 영조에게 ‘실사구시’를 각인시키고, 『반계수록』을 추천했다. ‘실사구시’는 실학의 대명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실사구시’를 본격적으로 제창한 양득중에 대한 연구가 그 중요도에 미치지 못했던 것 같다. 다행히 2015년 그의 문집인 『덕촌집』의 번역이 있었고, 최근 반계 유형원과 『반계수록』에 관한 연구가 다시 촉진되는 것과 발맞추어 양득중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이 책은 2021년 3월 13일 실학박물관과 한국실학학회의 공동주최로 열린 학술대회 ‘실사구시 제창자, 덕촌 양득중’의 발표문을 엮은 것이다.
첫 번째 글(「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은 이미 발표한 두 글(「조선후기 상업진흥론과 실학담론의 재구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7. 「양득중의 실사구시와 반계수록 추천」, 반계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 2018.)에서, 양득중이 피력했던 실사구시론 부분과, 실학담론의 재구성을 시도한 부분을 합성했다.
두 번째 글(김승대, 「덕촌 양득중의 가계와 추숭에 관한 연구」)은 가학의 전통, 성혼 학맥과의 연결, 아천 박태초와 명재 윤증 두 스승과의 관계, 양명학적 경향, 소론계 인물로서의 위상, 부안 우반동 유형원의 제자인 김서경과의 연결 등이 가계 속에서 해명되고 있다. 『덕촌집』의 간행과 뒤늦은 난곡 이건방의 묘갈명에 관한 경위, 그리고 그의 유적지가 공주·부안·해남·보성 등지에 산재한 상황도 소개하고 있다. 가계분석으로 양득중 연구의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세 번째 글(김용흠, 「덕촌 양득중의 실사구시 학문관과 탕평론」)은 양득중의 정치사상과 활동을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연관하여 해석한다. 양득중은 숙종대 박세채가 제출한 황극탕평론을 구성하고 있던 왕권론과 조제론(調劑論), 그리고 변통론(變通論)을 실사(實事)에 나아가서 실천에 옮겨야 한다고 본 원칙적 탕평론자였으며, 탕평의 주체가 군주임을 분명히 하였으며, 영조를 ‘군사(君師)’로 인정하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네 번째 글(최윤정, 「덕촌 양득중의 문학 연구」)은 『덕촌집』에 실린 글을 분석한 것이다. 10권 5책으로 구성된 『덕촌집』의 글은 문예적인 것보다는 정치사상적 논설이 많은 것이 특징인데 이 가운데 주로 권4~권6의 잡저(雜著)에 수록된 것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양득중 문학의 주제별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다섯 번째 글(최윤정, 「덕촌 양득중의 논설류 작품 연구」)은 양득중의 관점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논설류(論說類) 세 편을 분석하였는데, 「알묘설(揠苗說)」에서는 허위 의식에 대한 비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상향이곡설(相向而哭說)」에서는 진정한 예(禮)의 추구가 강조되었고, 「명대의변(明大義辨)」에서는 대명(對明) 의리의 실상을 파악하여 비판하였다고 정리하였다.
여섯 번째 글(김승대, 「지역학 저변으로 바라본 덕촌 양득중」)은 해남 영신리를 비롯한 해남·화순 지역, 공주 덕촌을 비롯한 공주·부안 지역에 있는 양득중 유적의 현황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덕촌집』 이외 저작물의 집적화와 최근 발굴된 고문서의 번역, 덕촌의 학통과 문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작업, 해남 영신리 ‘실사구시’ 마을을 비롯한 지역학 차원에서의 양득중 연구 및 활용, 그리고 호남실학 차원에서의 접근 등 네 가지를 제언하고 있다.
일곱 번째 글(이경화, 「덕촌 양득중 초상의 제작과 봉안」)은 해남군 옥천에 위치한 덕촌사에 봉안된 양득중 영정에 관한 것입니다. 스승 윤증의 도상을 차용한 것을 윤증의 학문적·정치적 계승자로서의 의지를 표상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다만 양득중 영정이 제작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한 것이 아니고, 보수와 재제작을 통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된 여러 쟁점을 검토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_김태희
Ⅰ. 머리말
Ⅱ. 실학담론의 역사성과 위기
Ⅲ. 실학담론의 세 가지 명제
Ⅳ. 양득중의 실사구시론
Ⅴ. 맺음말

덕촌 양득중의 가계와 추숭에 관한 연구 _ 김승대
Ⅰ. 들어가는 말
Ⅱ. 양득중의 가계 분석
Ⅲ. 양득중에 대한 사후 추숭
Ⅳ. 나오는 말

덕촌 양득중의 실사구시 학문관과 탕평론 _ 김용흠
Ⅰ. 머리말
Ⅱ. 교유관계와 소론 탕평론
Ⅲ. 실사구시 학문관과 조선후기 실학
Ⅳ. 영조 탕평책과 양득중의 탕평론
Ⅴ. 맺음말

덕촌 양득중의 문학 연구 _ 최윤정
Ⅰ. 서론
Ⅱ. 덕촌 양득중의 작품 평가 기준
Ⅲ. 덕촌 문학의 주제별 특징 양상
Ⅳ. 결론

덕촌 양득중의 논설류(論說類) 작품 연구 _ 최윤정
Ⅰ. 서론
Ⅱ. 덕촌집 논설류의 작품 양상
Ⅲ. 논설류 작품에 나타난 주제 의식
Ⅳ. 결론

지역학 저변으로 바라본 덕촌 양득중 _ 김승대
- 남겨진 유적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해남・화순 지역의 유적
Ⅲ. 공주・부안 지역의 유적
Ⅳ. 남겨진 과제

덕촌 양득중 초상의 제작과 봉안 _ 이경화
Ⅰ. 서론
Ⅱ. 덕촌 영당의 건립과 영정 봉안
Ⅲ. 양득중 초상의 도상적 의미와 제작 시기
Ⅳ. 양득중 초상의 채용신 이모설 검토
Ⅴ. 결론


찾아보기
저: 김태희
실학박물관장
저: 김승대
전북도청 학예연구관
저: 김용흠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저: 최윤정
용인대 교양교육원 교수
저: 이경화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