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78 |
고려시대 정치사의 제문제
권영국 저
26,000원
26,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364쪽
2020년 12월 21일
9788949949451
책 소개
고려사회에 당과 송의 정치제도는 어떻게 접목되었을까?

3성6부를 중심으로 하는 고려 정치제도는 당의 6전 체제를 모범으로 하는 것이었다. 3성6부제는 중서성에서 입안한 정책이나 법제등을 문하성의 재상들이 심의 의결하는 귀족 중심의 정치제도이고, 중서문하 삼사 추밀원을 중심으로 하는 송의 정치제도는 황제의 명이 곧바로 실행되는 군주 중심의 정치제도이다. 저자는 고려시대 정치제도사 연구를 시작하면서 고려가 기본적으로 당의 3성6부제를 받아들여 완결된 정치체제들 갖추었음에도 어째서 추가로 송의 제도를 수용하여 같은 기능이나 성격을 가진 2개의 기구를 설치하였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졌다. 또 하나는 고려가 당이나 송으로부터 수용한 많은 정치제도가 고려사회에서 어떻게 실질적으로 운영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저자의 의문을 주제로 다룬 논문을 총 3장으로 구성한 것이다. 1장에서는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당의 3성6부제와 송의 삼사 두 기구를 병존시킨 정치적 배경과 고려와 당・송의 제도를 비교하여 고려의 호부와 삼사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였는가를 정리하고 군사업무를 담당하는 병부가 존재함에도 송의 추밀원제도를 본 딴 중추원 2개의 군사기구를 병치한 배경을 밝힌다. 2장에서는 고려의 상서 6부에 설치된 판사・지사직의 기능과 고려시대의 기록에 나타나는 행직(行職)과 수직(守職)의 존재를 통해 중국으로부터 수용된 행수제(行守制)가 고려 사회에서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었는가와 고려의 관직체계에서 최고 관직인 태사(太師) 태부(太傅)태보(太保)의 삼사(三師)와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의 삼공(三公)직에 대해 그 설치 과정, 제수 대상과 배경, 그리고 직무의 내용과 성격 등을 다룬다. 3장에서는 원 간섭기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일련의 ‘개혁안’들을 주로 사회경제부문을 중심으로 ‘개혁안’의 내용을 분석하여 ‘개혁정치’가 갖는 성격과 각염제(榷鹽制)가 시행된 배경을 사회경제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을 검토함으로 당시 소금 전매제가 갖는 의미를 검토한다.
목차
서문

제1장 고려시대의 중앙관부

제1절 경제・재정 관부 -호부와 삼사-
1. 머리말
2. 호부와 삼사의 설치 배경
3. 호부와 삼사의 조직과 관원 구성
4. 호부와 삼사의 기능
5. 맺음말
제2절 군정(軍政)기구 병부(兵部)
1. 머리말
2. 병부의 설치와 지위
3. 병부 조직의 정비
4. 병부의 기능
5. 맺음말
제3절 군령(軍令)기구 순군부(徇軍部)
1. 머리말
2. 순군부의 설치
3. 순군부의 기능과 성격
4. 순군부에서 군부로의 개편
5. 군부의 폐지와 중추원의 설치
6. 맺음말

제2장 고려시대의 관직
제1절 상서 6부의 판사・지사직
1. 머리말
2. 6부 판사 지사직의 설치 배경
3. 6부 판사 지사직의 운영
4. 6부 판사 지사직의 기능과 성격
5. 맺음말
제2절 고려시대의 행직(行職)과 수직(守職)
1. 머리말
2. 행 수직의 설치와 운영
3. 행 수직과 행수제
4. 행 수직과 산직(散職)의 관계
5. 행 수직의 기능
6. 맺음말
제3절 고려시대의 삼사(三師)와 삼공(三公)
1. 머리말
2. 삼사 삼공직의 설치
3. 삼사 삼공직의 제수
4. 삼사 삼공직에 대한 대우
5. 삼사 삼공직의 직무와 성격
6. 맺음말

제3장 원 간섭기의 고려 사회
제1절 원 간섭기의 개혁정치
1. 머리말
2. 개혁안의 분석
3. 개혁정치의 성격
4. 맺음말
제2절 원 간섭기 각염제(榷鹽制)의 시행
1. 머리말
2. 각염제의 시행
3. 각염제의 운영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 권영국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역임
현 숭실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저서>
『譯註高麗史食貨志』 공저,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공저,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공저, 『한국역사입문』 공저, 『한국사길잡이』 공저,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공저, 『남북 역사용어 및 영문 표기 기초조사』 공저, 『물질문화와 농민의 삶』 공저, 『고려시대 군사제도 연구』

<논문>
「고려 초 徇軍部의 설치와 기능의 변화」, 「고려 초기 兵部의 기능과 지위」, 「고려전기軍政軍令機構의 정비」, 「고려전기 中央軍의 성격」, 「고려전기 軍役制의 성격과 운영」, 「고려전기 東北面과 東海岸의 방어체제」, 「元간섭기 고려 軍制의 변화」, 「고려후기軍役制의 변화」, 「조선초 鹽業政策과 生産體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