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74 |
[2021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高麗時期 寺院經濟 硏究Ⅱ
이병희 저
50,000원
50,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716쪽
2020년 8월 25일
9788949948997
책 소개
고려시기 사원경제에 관한 연구, 그 세 번째 저서

고려는 불교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 사회였다. 불교는 사상과 종교의 측면에서는 물론 건축이나 미술의 영역에서, 또 공연 예술의 분야에서도 상당한 자취를 남겼다. 그리고 불교계는 국가 경영이나 지방 행정 운영과도 깊이 관련하고 있었다. 수준 높은 불교문화의 바탕에, 또 광범위한 불교 영향력의 배후에 사원경제가 자리했다. 사원경제의 확대는 국가재정을 축소시키고, 세속 지배층의 경제력 위축을 가져오는 것이어서 국가 및 지배층과 일정한 긴장 관계를 보이기 마련이었다.
문명사적으로 보면 사원경제에는 外風과 土風이 결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불교는 외래 문명으로 이 땅에 수용된 것이기 때문에 외풍이라 부를 수 있는 반면에, 경제 기반은 우리 사회를 전제로 하므로 토착적인 측면이 강하다. 결국 외래 사상인 불교가 이 땅에 들어와 토착의 기반사회 및 경제구조를 전제로 해서 사원경제를 구축했다고 할 수 있겠다.

승려들은 수행 과정에서, 또 승직을 담당하기 때문에 전국을 이동하고 있다. 그리하여 불교계는 전국적 연결망(network)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결망은 불교 교설의 확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온갖 문물의 전국적 소통에 이바지했다. 이 점 역시 고려시기 불교계의 주목할 사항이라고 하겠다. 연결망의 측면에서 불교계의 역할을 해명하는 것은 우리 불교, 나아가 사회 성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상의 시각을 전제로 작업한 내용을 저자는 일부 발표했고 그것을 이 책에 수록했다.

본서는 저자가 발표한 14편의 논문과 새로 작성한 한 편의 글을 수록했는데, 사원경제를 주제로 하면서 다소 외연을 확대해 작성한 글까지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은 주제라든지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여럿 포함하고 있다. 본서가 고려시기 사원경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불교계 전반에 대해 폭 넓게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목차
서문

제1부 寺院經濟 理解의 基礎
제1장 高麗時期 佛敎界의 法的 地位
1. 序言
2. 『高麗史』 刑法志의 불교 관련 조항
3. 出家와 寺院 創建
4. 寺院의 經濟 活動
5. 社會的 行爲의 問題
6. 住持의 任用과 行爲
7. 結社體 構成, 寫經, 茶毘法, 其他
8. 結語
제2장 中國 寺院經濟의 理解-中國寺院經濟史硏究를 중심으로-
1. 序言
2. 中國寺院經濟史硏究의 내용
3. 中國寺院經濟史硏究의 특징
4. 高麗 寺院經濟와의 비교
5. 結語

제2부 國家財政과 寺院經濟
제1장 高麗時期 國家의 寺院 造營 財政 支出
1. 序言
2. 寺院 造營의 內容
3. 勞動力의 提供과 組織
4. 建築 資材의 마련과 費用의 提供
5. 寺院 造成의 問題와 財政 支援의 縮小
6. 結語
제2장 高麗時期 佛敎界에 대한 國家의 財物 제공
1. 序言
2. 佛敎 行事에 대한 後援
3. 僧侶에 대한 賜物
4. 寺院에 대한 財物 支援
5. 高麗末 朝鮮初 支出의 跛行化과 縮小
6. 結語
제3장 恭愍王代 佛事 관련 財政 支出
1. 序言
2. 寺院에 대한 지원
3. 僧侶에 대한 지원
4. 佛敎 行事에 대한 지원
5. 國家財政과 佛事 관련 지출
6. 結語

제3부 寺院과 술[酒], 金屬
제1장 高麗時期 寺院의 술 生産과 消費
1. 序言
2. 世俗 社會의 술 生産・流通과 寺院의 釀造 活動
3. 寺院에서의 술 消費
4. 釀造・飮酒・賣酒에 대한 規制
5. 結語
제2장 新羅末 高麗初 鐵의 消費와 寺院
1. 序言
2. 鐵의 속성과 신라말 鐵佛의 제작
3. 신라말 호족의 鐵製 武器 보유
4. 鐵製 武器의 수거와 관리
5. 고려초 鐵製 武器의 재활용
6. 結語
제3장 高麗時期 寺院의 銅 消費
1. 序言
2. 불교 공예품의 종류와 소재
3. 梵鍾의 제작과 銅의 사용
4. 金鼓・香爐의 제작과 銅의 사용
5. 불교 공예품의 銅 소비 추이와 銅錢의 제작
6. 結語
제4장 高麗時期 寺院의 金銀 消費
1. 序言
2. 佛像・佛塔의 조영과 금은
3. 寫經의 제작과 금은
4. 工藝品의 제작과 금은
5. 고려말 조선초 금은 부족과 佛敎 美術品 제작 제한
6. 結語

제4부 高僧, 術僧 그리고 居士
제1장 大覺國師 義天의 鑄錢論
1. 序言
2. 義天의 학문・경험과 鑄錢論
3. 鑄錢論의 내용
4. 貨幣 政策과 鑄錢論의 위상
5. 結語
제2장 高麗時期 術僧의 活動과 그 意味
1. 序言
2. 術數의 구분과 術僧의 존재
3. 醫術과 風水地理 분야 術僧의 활동
4. 占卜・觀相術 및 다른 분야 術僧의 활동
5. 術僧에 대한 民人의 호응과 政府의 대응
6. 結語
제3장 高麗時期 居士의 生活方式과 그 意味
1. 序言
2. 佛道의 추구
3. 蔬食과 布衣 생활
4. 生産과 蓄財에 대한 무관심
5. 적극적인 布施行의 실천
6. 結語

제5부 佛敎界의 連結網과 世俗 社會
제1장 高麗時期 佛敎界의 連結網
1. 序言
2. 連結網의 형성 계기와 특징
3. 連結網의 기능
4. 連結網의 동요와 축소
5. 結語
제2장 高麗時期 寺院에서의 敎學 活動
1. 序言
2. 受學과 修行
3. 學問 傳授와 弟子 養成
4. 佛敎 行事와 敎說 擴散
5. 高麗末 敎學 活動의 不振
6. 結語
제3장 高麗時期 官僚의 佛敎界 連結網
1. 序言
2. 家族 生活에서 형성되는 連結網
3. 現職 官僚로서 맺는 連結網
4. 사사로운 親交로 맺어지는 連結網
5. 結語

참고문헌
저: 이병희
울 신정동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저서_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3(고려편)』, 『高麗後期 寺院經濟 硏究』, 『高麗時期 寺院經濟 硏究』, 『농사직설역해』,
논문_ 「高麗後期 農地開墾과 新生村」, 「고려 현종대 사상과 문화정책」, 「朝鮮前期 寺刹의 亡廢와 遺物의 失」, 「고려시기 벽란도의 ‘해양도시’적 성격」, 「조선전기 승려의 자선활동」, 「조선전기 별와요의 기와생산과 승려」, 「高麗時期 食水의 調達」, 「朝鮮初期 佛敎界의 寶 運營과 그 意味」,「고려시기 松木政策과 그 한계」, 「조선전기 琉球國 농업의 이해」, 「고려시기 천도론의 제기와 생태환경」, 「고려 현종대 진휼정책과 권농정책」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