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 개경 승려와 사대부의 음식
태경 저, 역주
20,000원
20,000원
판매중
양사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348쪽
2020년 1월 20일
9791185228082
책 소개
고려시대에서 찾아보는 불교 음식학(飮食學)

본 저서는 고려 개경(開京)의 승려와 사대부 음식문화를 정리한 것이다.
요즘 음식의 트렌드는 ‘먹방’이다. 그러나 저자는 그저 음식의 트렌드가 ‘먹방’에서 끝나는 아쉬움이 있으며, 한식이나 사찰음식(또는 불교음식)이 한국인들의 입장에서 어떻게 시작되고 변용되었는가를 인문학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기본 사료는 고려시대 승려와 사대부의 문집 그리고 고려사, 서긍의 고려도경 등에서 음식에 관한 내용을 찾아서, 신라와 조선시대를 연결하는 고려시대의 음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동양 최초의 음식이론, 송(宋) 개봉의 음식 특히 소식(蔬食)에 관한 詩를 첨부하였다. 불교경전과 논서에서 음식이론에 관한 내용을 모아, 초기불교(인도불교)의 입장이 아니라, 중국불교에서 인도불교음식이 이해될 때, 음식론 및 음식관이 어떻게 변용되었는가를 보였다.

<주요 내용>
-백제는 중국 유교사상에서 소식(蔬食)으로 변용된 것이 유입되어, 불교음식이 시작된다.
-고려 개경은 송(宋)의 상인들의 무역을 통해서 송의 음식과 식기문화가 직수입된다.
-고려에서 불교음식은 아주 비싼 음식으로 특권층 만이 향유할 수 있었다.
-사찰음식은 건강식이 아니라, 식체(食體)를 갖추고 식상(食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수행 방편의 하나이다.(불교음식수행론)
-오신채와 육식을 금하는 이유는 맛의 욕심을 버려 전쟁을 막는 것이 궁극의 목적이다.
-중국 선불교의 청규(淸規)는 인도불교의 음식관을 재해석하여 불교음식문화(발우공양)을 발달시키고, 조선시대에는 사찰가람의 배치에 영향을 준다.
-조선왕실의 속제(왕실의 조상제사)는 고려 불교음식인 유밀과의 재현이다.
-오늘날 민가의 결혼 환갑 등, 큰 날의 상차림은 고려 불교음식의 영향이다.
-한국음식문화의 기원은 불교음식에서 시작되었다.
-태안 대섬과 마도1~3호선에 출수(出水)된 실제 食器 옹기와 청자유물을 도판으로 제공한다.
-음선정요(1330년) : 원나라 홀사혜(忽思慧)가 원의 황실 귀족의 음식보(飮食譜)를 기술하여 편찬한 음식재료의 그림을 제공하였다.

<이야기거리>
-고려시대 남해안에서 개경으로 진상하는 식기에는 젓갈, 꿀, 게장, 메주, 누룩 등이 담겼음
-고려 개경에는 송나라의 음식과 식기가 유행
-고려인은 음식의 성질에 따라 옹기와 청자를 구분하여 사용
-녹자(綠瓷)라 불렀던 청자에 구리로 홍색을 발색하는 기술은 당시 세계 최초의 테크놀로지
-궁중음식이 아닌 효(孝)의 음식으로 변용된 구절판과 폐백
-불교음식에서 숟가락과 젓가락
-승려는 개경에 무료급식소를 설치
-탁주와 청주 및 금주령
목차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일러두기
머리말
참고문헌

총론 음식을 담다
1. 한식의 원형을 찾는 길
2. 우리의 풍미(風味)
3. 개경(開京)에 설치한 무료급식소
4. 고추 이전의 매운맛 초(椒)
5. 음식을 담은 고려의 옹기와 청자(靑瓷)
6. 바다 속에서 나온 청자발우
7. 조선왕실의 속제(俗祭)는 불교음식의 재현
8. 전통음식문화의 기초를 놓은 불교음식

제1부 음식을 먹다
1. 음식 이야기가 있는 책1) 무의자시집2) 호산록3) 보한집4) 동국이상국집5) 고려도경6) 고려사7) 본심재소식보8) 동경몽화록
2. 개경(開京)의 음식 이야기
3. 불교음식의 기본 이야기1) 맛[味]2) 식(食)3) 사찰음식에서 오신채와 육식4) 오신채와 오채(五菜)

제2부 음식을 읽다
1. 송(宋) 개봉(開封)의 먹거리1) 산속의 음식2) 꿈속의 음식
2. 개경(開京) 문인의 먹거리1) 승가의 소순기(蔬笋氣)
•채조(蔡絛) 『서청시화(西清詩話)』의 유통2) 송도(松都)의 먹거리
•공래산 구절판(九折坂)과 폐백 이야기
•두보의 『탁료유묘리(濁醪有妙理)』와 소식의 『탁료유묘리부(濁醪有妙理賦)』원문
•삼해주(三亥酒) 이야기3) 서긍(徐兢)의 개경(開京) 음식4) 역사 속의 음식
3. 승려의 음식 이야기1) 마음을 자연으로 노래2) 수행을 산초(山椒)에 비유

제3부 음식을 이야기하다
1. 동양의 맛이론[味論]1) 동양 최초의 맛이론2) 한의학의 5가지 맛3) 한의학의 5가지 맛이론4) 맛을 움직이는 이론5) 공자의 음식
2. 불교음식의 이론1) 육근(六根)을 참회하는 글2) 식(食)에서 양(量)을 아는 것3) 고기 먹는 것을 막는 이야기4) 식(食)을 싫어하는 상(想)5) 5가지 매운맛 채소6) 바른 식(食)을 논함7) 법회 여는 것을 논함8) 식(食)의 체(體)9) 먹는 자리는 작은 상으로 함10) 숟가락과 젓가락의 사용


편자 및 집필자 소개
지은이 태경(이선이)
강원도에서 태어나고, 해인사에서 출가하여, 봉녕사승가대학을 졸업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호텔경영학과(MBA, 경영학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석사(계율) 및 박사(한국화엄:균여) 학위 취득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과정(금속공예) 수료
동 대학원 미술학과에서 박사과정(불교미술) 수료

•경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서울)과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경주)에서 강의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에서 ‘한국의 색’ 강의
봉녕사·동학사·청암사승가대학에서 강의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 월정사 성보박물관 학예실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종단교수아사리(현)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의례위원회 의례실무위원(현)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법계위원회 의제실무위원(현)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현)

•저술
『조상경(造像經)』-불복장의 절차와 그 속에 담긴 사상(2006, 운주사)
『초기화엄사상사』(2007, 불교시대사)
『佛腹藏에 새겨진 의미』(2008, 양사재)
『알기 쉬운 불교용어 산책』(2011, 양사재)

•주요논문
韓國호텔經營情報시스템에 관한 연구:評價모델의 活用度測定을 중심으로(경영학석사)
『華嚴經』에 나타난 戒에 關한 硏究(문학석사)
均如의 圓通 論理와 그 實踐(철학박사)
『大乘六情懺悔』의 性格과 構造(한국불교연구원, 佛敎硏究 Vol.21, 2004)
均如의 禪에 대한 認識:『華嚴經三寶章圓通記』 「流轉章」의 第十成觀을 중심으로(한국선학회, 韓國禪學 Vol.17, 2007)
均如 향가에 나타난 澄觀의 영향(보조사상연구원, 普照思想 Vol.34, 2010)
『釋門家禮抄』 茶毘作法節次에 나타난 無常戒에 대한 小考(한국선학회, 한국선학 Vol.30, 2011)
『震默禪師遺蹟攷』에 보이는 經典名과 그 의미(한국정토학회, 淨土學硏究 Vol.16, 2011)
한국전통색의 범위와 正間色 구조에 관한 연구(한국색채학회, 한국색채학회논문집 Vol.26-4, 2012)
均如의 『釋華嚴旨歸章圓通抄』 三對六句에 나타난 圓通의 의미 고찰(한국불교학회, 韓國佛敎學 Vol.78, 2016)
‘사위성 신변’과 대승불교미술의 기원-연구사와 전망(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 리뷰 Vol.20, 2016)
한국 佛敎傳統色의 始原 연구:『三國史記』 色服條와 職官條를 중심으로(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 Vol.181, 2017)
묵담 대종사와 불복장의식(묵담대종사문도회, 2017)
『釋門儀範』 간행의 의의와 한계(동양고전학회, 東洋古典硏究 Vol.72, 2018) 등
저, 역주: 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