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 : 1946~2017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편
120,000원
120,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B5(4x6배판)
1498쪽
2018년 4월 16일
9788949947372
책 소개
2018년 2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이 72년의 시간을 뒤로 하고 서울법대 역사의 한 부분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모교인 법과대학이 문을 닫는 것은 동문으로서 무척 아쉬운 일입니다만, 법과대학의 역사를 이렇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이라는 책으로 남길 수 있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법과대학을 이어받은 법학대학원이 법과대학의 그것 이상으로 자랑스러운 역사를 써나갈 것을 기대하며, 이 뜻깊은 책의 첫머리에 단상(斷想)을 남깁니다.
본교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으로 개편된 것은 1946년 여러 전문학교와 사립학교를 통합하여 “서울대학교”라는 거대한 국립(國立) 종합대학을 수립하는 방책의 일환이었습니다. 어느덧 72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이제 서울법대는 법과대학 시대를 마무리하고 법학대학원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혁의 시기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의 자취를 좇는 것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법과대학 30년사와 40년사, 그리고 50년사를 통해 서울법대의 생생한 모습을 기록으로서 남겨주신 선학(先學)의 숭고한 뜻을 잇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흔히 사료를 통해 과거의 사실을 확인하고 그 또한 훗날 하나의 사료가 될 기록을 남기는 작업은 역사가의 소임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법학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역사가의 작업은 무엇보다도 엄격한 사료 검증을 통하여 과거에 발생한 사실을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접근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접근한 모든 과거의 사건이 전부 역사로 선택되지는 않습니다. 역사가는 명확한 사관(史觀)을 가지고 사료를 통해 검증한 과거의 사건을 역사로서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헤로도토스(Herodotos, BC 484~425)를 비판하며 객관적 서술을 강조한 투키디데스(Thukydides, BC 460~400)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서문에서 자신의 저작은 인류에게 불멸의 재산으로서 남기기 위함이라 역설하였습니다. 그것은 투키디데스 스스로가 확인한 과거의 사실들이 역사의 보편성이라는 자신의 주장과 믿음을 뒷받침한다는 강한 확신이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법학의 탐구 대상인 법 역시 이와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어느 한 개인이 정의롭다고 생각하는 바가 곧 법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법은 대개 개개인을 떠나서 사회적으로 확인되는 사실을 통해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널리 통용되는 보편성 속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법은 명백하게 한 공동체가 지향하는 특정한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법과 역사가 가지는 이러한 유사점 때문에 법은 많은 역사가들에게 매력적인 사료로서 널리 다루어져왔습니다. 법에 대한 역사적 접근은 과거를 성찰하고, 현재를 조감하며, 미래를 비추어 보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작업입니다. 이번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의 발간이 지금까지 서울법대가 간직하고 키워온 가치를 다시 확인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은 크게 교육조직의 면에서 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변천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이루어진 법학 교육과 법학 연구의 모습, 서울법대의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 서울법대의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 총괄을 맡아주신 정인섭 교수님, 그리고 정긍식 교수님을 필두로 각 장별로 노고를 아끼지 않고 매진해주신 모든 교수님들의 노력이 없었으면 이 책을 발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을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하여 1946년 이래 72년간 계속되어 온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여정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나아가 언젠가는 법과대학 30년사와 40년사, 50년사, 그리고 이번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의 명맥을 이어 본격적인 서울법대사를 집필하게 되는 날이 올 것을 기대해 봅니다.
목차
간행사

축 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화보


제1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발전

1. 근대 법학교육의 출발: 개학 반세기
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출범
3. 교육기반의 확충과 발전: 동숭동 시대
4. 관악시대의 전개
5. 법학전문대학원 시대
참고: 법과대학 역대 보직 교수 명단


제2편 법학교육의 발전

제1장 법학교육제도의 변천
1. 대학의 설치와 학제의 변천
2. 입학과 졸업
제2장 교육과정의 변천
1. 교양/전공 교과목의 변천
2. 법과대학 교양교과목
3. 법학 전공교과목
제3장 교수진의 확충과 발전
1. 교수진의 확충과 변동
2. 교수진 구성의 특징
3. 교수진의 기여
참고: 교수진의 변동(1946~2017)
제4장 대학원 교육
1. 대학원 교육의 특징과 내용
2. 전망과 과제
제5장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과 정착
1. 법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
2. 교육목표와 학생선발
3. 교원과 교육과정
4. 교육시설과 학생복지
제6장 공간과 시설
1. 해방 전 캠퍼스
2. 동숭동 캠퍼스
3. 관악캠퍼스와 공간의 확충
제7장 연구지원기관
1. 법학연구소 및 센터
2.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3. 법학도서관


제3편 법학연구의 전통

제1장 서울법대 학문연구의 전통
1. 머리말
2. 70년사의 역사적 위상
3. 󰡔서울대학교 법학󰡕의 전통과 유산
4. 서울대 법학의 위상과 전통
5. 맺음말
제2장 헌 법
1. 헌법학과 서울법대
2. 헌법학 주요 쟁점
3. 통일법 분야
4. 맺음말
제3장 민 법
1. 머리말
2. 서울대학교의 민법 교수
3. 서울대 교수들의 중요한 학설
4. 맺음말
제4장 형사법
1. 머리말
2. 제1세대
3. 제2세대
4. 제3세대
5. 맺음말-“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서
제5장 행정법
1. 머리말
2. 제1기(1946∼1970)
3. 제2기(1971∼1996)
4. 제3기(1997∼현재)
5. 맺음말
참고: 세대별 석・박사학위취득자
제6장 상 법
1. 머리말
2. 상법연구의 맹아(제1기: 1950년까지)
3. 동란 중에 내딛는 첫걸음(제2기: 1951년부터 1960년까지)
4. 한국상법전과 상법의 쌍두마차(제3기: 1961년부터 1970년까지)
5. 전문화와 분화로의 출발(제4기: 1971년부터 1980년까지)
6. 도약과 성숙(제5기: 1981년부터 2000년까지)
7. 상법 연구의 다각화와 국제화(제6기: 2001년 이후)
8. 맺음말
제7장 국제법
1. 머리말
2. 기당 이한기 선생의 국제법학
3. 석암 배재식 교수의 국제법학
4. 송현 백충현 선생의 국제법학
5. 이상면 선생의 국제법학
6. 맺음말
제8장 법철학
1.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철학 연구의 출발: 황산덕 교수
2. 서울대학교 법철학 연구의 방법론적 기초 확립: 전원배 교수의 ‘미완의 기획’
3. 서울대학교 법철학 연구 전통의 확립과 발전: 심헌섭 교수의 법철학
4. 역사와 문화 속에서의 법철학: 최종고 교수
5. 실천적 자연법론 연구와 통합법학의 기획: 박은정 교수
6. 규범적 법철학의 지향: 김도균 교수의 법철학
7. 맺음말
제9장 법사학
1. 머리말
2. 법사학의 출발과 개관
3. 분야별 소개
4. 법사학연구의 특징
5. 맺음말
제10장 민사소송법
1. 머리말
2. 서울법대의 민사소송법 교육과정
3. 민사소송법 전임교원의 연구 성과와 특징
4. 맺음말
제11장 사회법
1. 머리말
2. 노동법
3. 사회보장법
4. 맺음말
제12장 세 법
1. 머리말
2. 이태로 교수의 세법학
3. 이창희 교수의 세법학
4. 이태로 교수・이창희 교수가 세법학계에 끼친 영향
5. 맺음말
제13장 경제법
1. 머리말
2. 경제법학의 탄생기(1960년대~1980년대)
3. 경제법학의 정착(1990년대~2000년대 중반)
4. 경제법학의 발전(2000년대 중반 이후~현재)
5. 맺음말
제14장 국제사법・국제거래법
1. 머리말
2. 서울법대 국제사법 연구 70년
3. 서울법대 국제거래법 연구 70년
4. 서울법대 국제사법・국제거래법의 전공분류
5. 맺음말
제15장 지적재산권법
1. 머리말
2. 지적재산권법 연구의 원류(1946년 이후 70년대까지)
3. 지적재산권법 연구의 본격적 시동(1980년대)
4. 지적재산권법 연구의 확립 및 발전(1990년대 이후~현재)
5. 맺음말
제16장 환경법
1. 서울법대 환경법의 태동과 기반확립(1970년대∼1990년대)
2. 서울법대 환경법의 발전(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
3. 서울법대 환경법의 융성(2006년 이후 현재까지)
4. 서울법대 환경법의 미래
제17장 법사회학
1. 머리말
2. 교육의 시작과 변천
3. 법과 사회과학 관련 강좌
4. ‘법과 사회’ 연구관심과 학술활동
5. 맺음말
제18장 법여성학
1. 머리말
2. 출발
3. 교육, 학술활동 및 연구물
4. 맺음말
제19장 법경제학
1. 머리말
2. 제1기: 1980년대∼2000년대 초반
3. 제2기: 2000년대 중반 이후
4. 맺음말
제20장 영미법
1. 머리말
2. 서울법대 학문 연구의 역사 속에서의 영미법 연구 70년사 개관
3. 서울법대 교과과정과 교원의 구성, 그리고 서울법대의 영미법 연구
4. 대학원 학위논문을 통해 본 서울법대 영미법 연구
5. 서울법대 영미법 연구 70년의 소회 - 󰡔법학󰡕에 게재된 본교 교원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6. 맺음말


제4편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와 법대문화 72년

제1장 졸업생의 사회진출과 역할
1. 개관
2. 법조계
3. 관계
4. 학계
5. 정계
6. 경제계
7. 문화계 및 언론계
제2장 민주화운동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기여
1. 머리말
2. 태동기의 학생운동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3. 4.19와 5.16 사이에서
4. 1960년대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생운동
5. 유신 전후 민주화운동
6. 긴급조치, 계엄령 하의 학생운동
7. 1980년대 이후의 학생운동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8. 맺음말
제3장 학생활동과 법대 문화
1. 모의재판
2. 법대 학생회
3. 학회・동아리 활동
4. 법과대학의 언론
5. 법대 문화의 전통과 특징: 종합 평가
제4장 동창회의 발전과 역할
1. 동창회 조직
2. 재단법인 서울법대장학재단


부 록

Ⅰ. 연 표
1. 법과대학 연표
2. 동창회 연표
3. 장학재단 연표
Ⅱ. 교과과정(학부, 전문대학원, 일반대학원)
1. 법과대학 학부과정 교과목(1946~2017년)
2. 법학전문대학원 교과목
3. 대학원 교과목
Ⅲ. 교수 약력 및 연구업적
1. 현직교수
2. 퇴직교수
Ⅳ. 졸업생 명단
1. 각 학교별 졸업생 현황(1895. 11~2018. 2)
2. 각 학교별 졸업생 명단(1895. 11~2018. 2)
Ⅴ. 학위논문 목록
1. 박사학위논문
2. 석사학위논문


간행 경과 보고


<분야별 필자 목록>
편: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 : 1946~2017 간행위원회

조홍식(위원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학장)
이재민(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무부학장)
김영갑(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창회 사무처장, 변호사)
최종고(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최병조(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인섭(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긍식(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간행위원회 출범시 : 이원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학장(위원장) 및
김종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무부학장 참여)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72년 : 1946~2017 편집위원회

정인섭(위원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긍식(부위원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인섭(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도균(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송옥렬(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우영(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종익(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편 집 간 사 : 김영석(법학박사)
편집보조원 : 김백경(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김학진(박사과정), 김준현(박사과정),
이문규(석사과정), 이승현(석사), 정종구(석사과정), 정 란(석사과정)